
enterprise cloud
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는 더욱 강화된 보안을 요구하는 기업, 공공기관, 금융기관 등이 사용하기에 적합하며, 고객사의 시스템을 DMZ zone과 private zone에 나누어 수용할 수 있습니다.
enterprise cloud
enterprise cloud 개요
일반 클라우드 서비스에 비해 더욱 강화된 보안을 요구하는 기업, 공공기관, 금융기관 등이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.
고객사의 시스템을 DMZ zone과 private zone에 나누어 수용할 수 있습니다.
IPS(침입방지시스템), FW(방화벽), VPN, 보안관제서비스를 기본으로 제공합니다.
서비스 특·장점
- 고품질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합리적인 가격으로 제공합니다.
- CPU의 다중 코어를 동시에 이용, 한 개의 영상 파일을 분산 인코딩하여 기존 하드웨어 인코더 대비 3~5배 빠른 퍼포먼스 구현
- enterprise cloud 전용의 IPS (CC인증 EAL4), FW(CC인증 EAL3) 을 제공합니다.
- 보안적합성 검증은 국가정보통신망의 보안수준을 제고하고, 외부의 사이버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‘전자정부법’ 제 56조 및 동법 시행령 제69조에 의거, 국가 · 공공기관이 도입하는 IT제품의 보안기능에 대한 안전성을 검증하는 제도입니다.
- 고객사의 중요한 정보를 private zone에 수용함으로써 보안성이 보장됩니다.
- enterprise 방화벽은 S/W 방화벽(VR) 대비 우수한 트래픽/세션 성능과, 장애, 침해사고 시 원인 분석이 가능한 로그 관리 기능을 제공합니다.
- 물리서버와 enterprise cloud를 연동하여 Hybrid Cloud를 구성 할 수 있습니다.
Public Cloud, Secure Zone과 enterprise cloud 비교
Public Cloud | Secure Zone | enterprise cloud | |
---|---|---|---|
망분리 (VLAN) | DMZ zone only | Secure zone only | DMZ zone+ Private zone |
IPS | 공용 시스템 | UTM 장비 (Secure zone 전용) | Enterprise 전용 시스템 |
FW | S/W 방화벽(VR) | UTM 장비 | H/W 기반의 인증 방화벽 |
보안 매니지드 서비스 | x | ○ | ○ |
보안 매니지드 서비스 소개
보안 매니지드 서비스 내역
구분 | 서비스 내역 | Standard |
---|---|---|
모니터링 | 대상시스템 Alive Check | ○ |
이상트래픽 모니터링 | ○ | |
해킹/웜/바이러스 모니터링 | ○ | |
운영 | 대상시스템 룰셋 튜닝/업데이트 | ○ |
Anomaly, DDoS 정책설정 | ○ | |
대상 시스템 환경설정 백업/복원 | ○ | |
대응 | 실시간 공격분석 | ○ |
공격 발생시 SLA에 의거한 조치 | ○ | |
사용자 정의 정책 설정(Zero day Attack) | ○ | |
보고서 | 관제작업내역 | ○ |
정기 보고서(월) | ○ | |
진단 | 정기 취약점 진단(서버시스템) | Optional |
웹취약점 진단 | Optional | |
모의해킹 | Optional | |
헬프데스크 | 보안시스템 구성 및 정책 히스토리 관리 | ○ |
24시간 콜 센터 운영(Hot Line) | ○ | |
침해사고분석 | 피해발생시 대상시스템로그 분석 | ○ |
침해사고시 CERT 대응 분석 서비스 | 5회/년 | |
로그관리 | 로그저장 | 30일 |
로그검색 | ○ |
보안 매니지드 서비스 대상 시스템
구분 | 대상시스템 | 서비스 시간 |
---|---|---|
F/W | 주니퍼 SRX3600 또는 CheckPoint SG12600 (고객 도메인별 최대 10만 세션 제공) | 24*365 |
IPS | Sniper 10G IPS | 24*365 |
WAF(선택사항) | 펜타시큐리티 WAF | 24*365 |
enterprise cloud 구조도

enterprise cloud/G-Cloud는 방화벽으로 보안 처리된 구조 인만큼, Windows 정품인증 및 업데이트, Linux 패키지 설치를 위한 포트(outbound HTTP-tcp80, DNS-udp53)는 필요 시 방화벽 작업 요청에 포함하셔야 사용가능 합니다.